2024년부터 120만 조합원을 이끌 민주노총 직선제 4기 임원 선거가 2파전으로 진행된다.
민주노총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7일 오전 10시 민주노총 15층 교육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기 민주노총 임원진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을 소개했다.
민주노총은 위원장, 수석부위원장, 사무총장이 조를 꾸려 선거에 출마한다. 기호 1번은 양경수(금속노조), 이태환(공공운수노조), 고미경(금속노조)조이며, 기호 2번은 박희은(금속노조), 김금철(건설산업연맹), 이영주(전교조)조다.
이선규 민주노총 중앙선관위 위원장은 “이번 4기 직선제에는 101만 명의 조합원이 선거인으로 참여한다. 총연맹(민주노총 중앙)과 산하 16개 지역본부와 4개의 가맹 조직 임원 선출까지 역대급 규모로 진행되는 선거”라고 소개했다.
이어 “민주노총 11기, 직선 4기 지도부 임기는 3년으로 윤석열 정권과 임기를 같이 한다. 한국 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한 민주노총의 투쟁을 이끌 사명을 가진 지도부를 선출하는 매우 중요한 선거이기에 민노총 중앙선관위는 이번 4기 민주노총 임원 직선제의 구호를 120만 조합원이 함께 참여하자는 의미를 담아서 ‘투표가 곧 투쟁이다. 세상을 바꾸는 120만 선택’이라고 정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출마자들의 발언이 있었다.
‘압도하라 민주노총’을 구호로 한 기호 1번 양경수, 이태환, 고미경 조를 대표해 양경수 위원장 후보가 발언했다.
양 후보는 “120만 조합원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민주노총 위원장 선거를 윤석열 정권과의 투쟁으로, 민주노총 혁신의 출발점으로 만들겠다는 다짐을 함께하기 위해 이 자리에 왔다”라고 결의를 밝혔다.
이어 “민주노총을 더욱 조합원의 것이 되도록, 모든 노동자의 것이 되도록 노력하겠다”, “시민들과 더 많이 소통하는 민주노총이 되겠다”, “민주노총이 나서서 진보 정치의 단결을 위해 노력하겠다” 등의 포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기호 1번 ‘압도하라 민주노총’ 선본은 압도적인 광장의 힘으로 윤석열 정권을 끌어내리기 위해 조합원들을 만나겠다. 낡은 체제, 기득권 정치를 압도하는 노동자 민중의 항쟁을 조직하기 위해 뛰겠다”라고 강조했다.
‘다르게 강렬하게 바꿔야 이긴다’를 구호로 한 기호 2번 박희은, 김금철, 이영주 조를 대표해 박희은 위원장 후보가 발언했다.
박 후보는 “민주노총을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강렬하게 바꿔 승리해야 한다는 조합원들의 추상같은 명령이 바로 출사표이다. 세상을 뒤집는 체제 전환, 노동자들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전략과 실천, 120만 조합원의 심장이 함께 뛰는 벅찬 투쟁을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다르게, 강렬하게 바꿔서 함께 이기기 위한 좌표를 제시하고, 민주노총 위원장이 앞장서 길을 만들겠다”라고 덧붙였다.
임원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은 공동결의문에서 “윤석열 정권은 노동자에게 고통과 책임을 전가하는 파렴치한 짓을 멈추지 않는다. 노동탄압과 노동법 개악, 민생 파탄, 민주주의 실종, 사대·굴종 외교, 한반도 전쟁 위기 고조 등 어느 것 하나 온전한 게 없음에도 노동자와 민주노총에 대한 탄압을 지속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이번 선거를) 정권 퇴진이란 목표에서 시작해 노동자가 주인 되는 세상으로 바꾸는 선거로 만들 것”이라며 “노동자·민중이 안전하게 잘사는 나라를 위해 120만 조합원과 함께 직선 4기 선거를 더욱 공정하게 치르겠다. 조합원과 함께 민주노총에 대한 정권의 탄압을 뚫고 2024년 총선에서 노동자·민중의 세상을 열어가겠다”라고 다짐했다.
이번 선거에서 위원장으로 당선되면 두 명 모두 민주노총 역사에서 ‘최초’의 기록을 남긴다.
양 후보가 위원장으로 선출되면 민주노총 역사상 최초로 ‘연임’한 위원장으로, 박 후보가 위원장으로 선출되면 최초의 ‘여성 위원장’으로 된다.
한편, 27일 0시부터 시작된 선거운동은 11월 20일까지 진행되며, 투표는 11월 21일부터 27일까지이다.
선거운동 기간 일곱 차례의 권역별 합동유세가 진행된다. 충청권(11월 8일), 부산·울산·경남권(11월 9일), 제주권(11월 13일), 호남권(11월 14일), 강원권(11월 15일), 대구·경북권(11월 16일), 수도권(11월 17일) 순이다. <저작권자 ⓒ 자주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동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