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장을 뺏기면 대안은 없다. 중국은 하나다. 또 다른 중국은 없다. 중국과 무역을 할 수 없다면 미국 기업들에겐 엄청난 손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24일(영국 현지 시각) 보도된 파이낸셜타임스와 대담에서 이같이 강한 어조로 주장했다.
엔비디아는 미국 최대규모 반도체 기업으로 황 씨는 대만계 미국인이다. 미 국내 반도체 분야에서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약 7,665억 달러(대략 1,010조 원)로 1위이며 인텔, 퀄컴 등 경쟁사를 압도하고 있다.
황 씨는 “조 바이든 정권이 중국을 견제하려 도입한 수출통제 정책으로 실리콘밸리의 기술 기업들은 등 뒤로 손이 묶인 상태”라면서 “중국은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 최대 시장 중 한 곳에 첨단 반도체 칩을 더 이상 판매할 수 없게 된 것”이라고 했다.
바이든 정권은 지난해 8월 이른바 반도체법을 시행해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을 고립시키려 시도하는 한편, 반도체 공장을 미국으로 유치하기 위한 조치를 해왔다. 이에 관해서도 황 씨는 강하게 비판했다.
황 씨는 “반도체법은 결국 크게 망신당할 것”이라면서 “(중국 시장을 포기한 결과로) 미국 기술 기업들의 생산능력이 이전보다 3분의 1만큼 적어진다면 아무도 미국의 공장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될 것”이라고 개탄했다. 미국에서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3분의 1에 달하며, 중국을 포기하면 그만큼 미국이 받게 될 손해가 크리라는 인식으로 보인다.
미국 정치인들이 대만에서 전쟁이 나면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를 폭파하고 미국으로 공장을 이전해야 한다고 발언한 점에 관해서도 황 씨는 비판했다.
황 씨는 “대만 영토 밖에서 칩을 생산하는 건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라고 했다.
하지만 “부품 공급원이자 최종 제품의 판매 시장인 중국은 절대로 대체될 수 없다”라고 단언했다.
바이든 정권이 중국을 추가 제재할 가능성을 두고도 황 씨는 “신중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라면서 “미국에서 사들일 수 없다면, 그들(중국)은 그것(반도체 칩)을 스스로 만들 것이다. 미국이 조심해야 한다”라고 경고했다.
미국 유력 자본가들 사이에서 중국을 높이 평가하는 발언이 나온 건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지난 2022년 3월 중국 관영 CCTV에 출연해 리커창 당시 중국 국무원과 한 대담에서 “중국의 미래는 위대할 것이며 중국이 세계 최대 경제가 돼가고 있다고 확신한다”라고 중국을 치켜세웠다.
또 2022년 7월 1일 중국 공산당 창당 100주년을 맞아 자신의 트위터에 “중국이 성취한 경제적 번영은 정말 굉장하고 특히 인프라(기반 시설)가 그렇다!”라면서 “사람들이 (중국을) 방문해서 직접 보길 바란다”라고 적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공동창업자는 지난 2023년 1월 호주의 로위연구소와 대담에서 “최근 중국에 대응하는 미국의 방식은 ‘쌍방이 함께 공멸하자’는 식이라고 생각한다”라면서 “미국은 쇠약해지는 시기에 놓였다. 이제 미국은 국제 문제에서 과거의 지도력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중국 같은 나라가 세계 무대에서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팀 쿡 애플 CEO는 지난 3월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발전고위급포럼에 참석해 “중국과 애플은 지난 30여 년 동안 함께 성장해온 공생 관계”라면서 “혁신이 빠르게 이뤄져 왔고 앞으로 더욱 빨라질 것으로 믿는다”라고 발언했다.
바이든 정권과 정반대인 일부 미 자본가들의 ‘친중’ 행보는 미국의 패권이 추락하고 중국은 떠오르는 국제사회의 현실을 고려한 판단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자주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국, 중국, 자본가, 반도체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